허씨 : 김수로왕과 허왕후 사이에는 10명의 아들과 두 딸이 있었는데 허왕후가 평소에 자기의 성(姓)이 이 땅에 전하지 못하는 것을 매우 슬프게 생각하고 있자, 수로왕께서는 이를 가엾게 여겨 두 아들로 하여금 외가의 성인 허씨(許氏) 성을 따르게 하였으니, 이로부터 허씨가 탄생하게 되었다.
김해허씨(金海許氏)를 비롯하여 양천허 씨(陽川許氏) · 하양허씨(河陽許氏) · 태인허씨(泰仁許氏) · 함창허씨(咸昌許氏)가 모두 동본동근(同本同根)이다.
인천이씨 : 허씨의 후손 가운데 신라 35대 경덕왕 때 아찬(阿湌)의 벼슬에 있던 허 기(奇)가 당나라의 사신으로 가게 되었다.
그 당시 당나라 현종은 초기에 정치를 잘 하였으나, 양귀비(楊貴妃)를 후궁으로 맞아들인 후부터는 정치가 혼란하여 마침내 안륵산의 난이 일어났다.
이 난리통에 허기는 멀리 촉(蜀)나라까지 현종을 호종하였으니, 현종은 난이 끝난 후 허기에게 황성인 이(李)씨를 사성하고 소성백(邵城伯)이란 작위와 식읍(食邑) 1,500호를 내렸다. 그러나 신라 조정에서는 허기가 당나라에 오래 머물러 4년 만에 돌아 왔으므로 이를 허물하여 당나라에서 내린 작위와 식읍을 주지 않았다.
그래서 허기의 6세손인 허겸(許鎌)까지 '李許'의 복성으로 사용하다가 허겸의 아들 한(翰)에 이르러 李씨 단성으로 쓰게 되었다. 소성(邵城)은 오늘날의 인천(仁川)임으로 인천이씨(仁川李氏)라 하게 되었다.
우리 김해김씨 • 허씨 • 인천이씨는 김수로왕이 세운 가락국의 왕손으로서 제향(祭享)의 참사와 종중(宗中)의 일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서로 혼인은 하지 않는다.
허씨 : 김수로왕과 허왕후 사이에는 10명의 아들과 두 딸이 있었는데 허왕후가 평소에 자기의 성(姓)이 이 땅에 전하지 못하는 것을 매우 슬프게 생각하고 있자, 수로왕께서는 이를 가엾게 여겨 두 아들로 하여금 외가의 성인 허씨(許氏) 성을 따르게 하였으니, 이로부터 허씨가 탄생하게 되었다.
김해허씨(金海許氏)를 비롯하여 양천허 씨(陽川許氏) · 하양허씨(河陽許氏) · 태인허씨(泰仁許氏) · 함창허씨(咸昌許氏)가 모두 동본동근(同本同根)이다.
인천이씨 : 허씨의 후손 가운데 신라 35대 경덕왕 때 아찬(阿湌)의 벼슬에 있던 허 기(奇)가 당나라의 사신으로 가게 되었다.
그 당시 당나라 현종은 초기에 정치를 잘 하였으나, 양귀비(楊貴妃)를 후궁으로 맞아들인 후부터는 정치가 혼란하여 마침내 안륵산의 난이 일어났다.
이 난리통에 허기는 멀리 촉(蜀)나라까지 현종을 호종하였으니, 현종은 난이 끝난 후 허기에게 황성인 이(李)씨를 사성하고 소성백(邵城伯)이란 작위와 식읍(食邑) 1,500호를 내렸다. 그러나 신라 조정에서는 허기가 당나라에 오래 머물러 4년 만에 돌아 왔으므로 이를 허물하여 당나라에서 내린 작위와 식읍을 주지 않았다.
그래서 허기의 6세손인 허겸(許鎌)까지 '李許'의 복성으로 사용하다가 허겸의 아들 한(翰)에 이르러 李씨 단성으로 쓰게 되었다. 소성(邵城)은 오늘날의 인천(仁川)임으로 인천이씨(仁川李氏)라 하게 되었다.
우리 김해김씨 • 허씨 • 인천이씨는 김수로왕이 세운 가락국의 왕손으로서 제향(祭享)의 참사와 종중(宗中)의 일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서로 혼인은 하지 않는다.